- ransomware
- 사용자의 파일 및 시스템의 접근을 막고 이를 해제하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
어원
- 납치된 사람의 몸값을 뜻하는 Ransom과 Software의 합성어
랜섬웨어 감염 경로
홈페이지 방문
- (감염 경로) 랜섬웨어가 유포 중인 홈페이지 방문
- (원인) 운영체제 등 SW 취약점 존재[1]
이메일·SNS 유포
- (감염 경로) 첨부파일 다운로드·링크 실행시 설치
- (원인) 이용자 부주의 등 보안인식 부족
APT(타깃형 공격)
- (감염 경로) 해커가 서버 침투 및 악성코드 설치
- (원인) 기업의 보안관리 수준 취약
잠금 방식 분류
암호화 방식
- 대부분의 PC에서 이루어지는 방식
- 사용자의 파일을 암호화하고 복호화에 대한 대가로 금전을 요구
- 대칭키 암호화
잠금 방식
- 주로 모바일 기기에 이용되는 방식
- 모바일 기기의 패턴, PIN 잠금 기능 등을 활성화하고 잠금 해제에 대한 대가로 금전을 요구
- 해커 입장에선 암복호화 방식보다 구현하기 용이
그 외
- IoT 해킹 사례로, 호텔 방문을 모두 잠근 뒤 해제에 대한 대가로 금전을 요구
- 병원 등 중요시설의 가용성을 제한하고 해제를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모든 사례 포함
대응
예방
- 운영체제에 대한 최신 업데이트 적용
-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
- 백신 프로그램 실시간 감시 구동
복구
- 금전을 지불하고 복구
- 금전을 지불해도 복구키를 받지 못하거나, 복구키를 받아도 100% 복구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
- 금전을 지불하지 않고 백신업체의 복구 툴을 이용하여 복구
포기
- 금전을 지불할만큼 중요한 자료가 없다면 PC를 포맷하고 새로 설치
주요 랜섬웨어
- WannaCry
- CryptoLocker
- Reveton
- TorrentLocker
- Cryptowall
동향
2021년
- 전세계 기준 ’21년 매주 약 950개(1~3월)의 기업이 랜섬웨어 피해, ’20년 같은 기간(1~3월)의 약 470개에 비해 102% 증가[2]
- 미국에서 랜섬웨어 공격은 송유관‧육가공업체 등 기반시설과 국민 생활에 밀접한 분야가 목표가 되어 국가적 혼란 야기
- 미국 송유관 회사는 6일간 美 동부지역 송유 중단, 휘발유 가격 7년 내 최고(5.7.)
- 최대 육가공업체 ‘JBS SA’의 미국 자회사는 생산시설 일부가 3일간 운영 중단(5.30)
- 우리나라도 피해가 증가(’20년 대비 64% 이상) 중이며, 최근 제조기업, 배달대행 플랫폼, 병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피해 발생
-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(5.2) → 배달대행 기업(5.15) → 의료기관(5.22) 등
- 국내 기업이 경험한 침해사고 중 59.8%가 랜섬웨어(’20년 정보보호실태조사)
- 랜섬웨어 공격은 조직화·지능화되고 있으며 지속 증가할 우려
- 프로그래머가 랜섬웨어를 제작하여 범죄조직에 공급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등 범죄형태가 분업화‧조직화(서비스형 랜섬웨어)
- 신뢰가 있는 인물의 이메일 등을 활용한 사회공학적 기법, 지속적인 취약점 탐색(APT) 등 공격은 갈수록 지능화
2020년
- ‘20년 랜섬웨어 공격 중 64%가 서비스형 랜섬웨어이며, 랜섬웨어 개발자의 수요 증가로 몸값이 2배 이상 증가[3]
같이 보기
참고문헌 및 관련 보도
- 랜섬웨어 대응 강화방안('21.8.9, 관계부처 합동)
- 구인 기업은 깜빡 속는다? 입사지원서 사칭 랜섬웨어 또 유포
- 랜섬웨어, 피해 기업 소비자도 협박한다
- “랜섬웨어 피해 기업 3곳 중 1곳, 대가 지불해도 데이터 복구 실패”
- 랜섬웨어 대응 협의체 ‘KARA’, 사이버보안 ‘어벤저스’될까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