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용어위키



EOQ

경제적 주문량(Economic Order Quantity, EOQ)은 총 재고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주문량의 최적 크기를 계산하는 재고 관리 기법이다. 주문 비용과 보관 비용 간의 균형점을 찾아, 연간 재고 운영비용을 최소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.

개념

  • 주문량이 적으면 자주 주문해야 하므로 주문 비용 증가
  • 주문량이 많으면 보유 재고가 커져 보관 비용 증가
  • EOQ는 이 둘의 합인 총 재고 비용이 최소가 되는 주문량
  • ROP(재주문점)는 언제 주문할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, 리드타임과 수요를 반영함

주요 기호

  • D: 연간 수요량 또는 단위 시간당 수요량 (Demand rate, 단위: 개/시간)
  • L: 리드타임 (Lead time, 단위: 시간)
  • S: 1회 주문당 고정 주문비용 (Setup or Ordering cost)
  • H: 단위당 연간 보관비용 (Holding cost, 단위: $/개/시간)
  • P: 단위당 구매 비용 (Purchasing cost, 단위: $/개)
  • Q: 주문량 (Quantity per order)
  • ROP: 재주문점 (Reorder Point)

EOQ 공식

EOQ = √(2DS / H)

  • 주문 비용 = (D / Q) × S
  • 보관 비용 = (Q / 2) × H

→ 총 비용(TC)을 최소화하는 Q가 EOQ

ROP 공식

ROP = D × L

  • 수요가 일정한 경우, 리드타임 동안 소비되는 수량만큼 재고가 남았을 때 주문
  • 예: 하루 수요가 50개, 리드타임이 4일이면
ROP = 50 × 4 = 200개

총비용 공식

총 비용(TC) = 구매 비용 + 주문 비용 + 보관 비용

  • 구매 비용: D × P
  • 주문 비용: (D / Q) × S
  • 보관 비용: (Q / 2) × H
경제적 주문 비용 그래프

그래프 형태

  • X축: 주문량(Q), Y축: 총 비용
  • 주문 비용 곡선: 주문량 증가 시 하락
  • 보관 비용 곡선: 주문량 증가 시 상승
  • 총비용 곡선은 U자형 → EOQ에서 최소

예시

  • 연간 수요 D = 10,000개, 주문비용 S = 100원, 보관비용 H = 2원/개

→ EOQ = √(2 × 10000 × 100 / 2) = √1,000,000 = 1,000개

  • 하루 수요 = 40개, 리드타임 L = 5일 → ROP = 40 × 5 = 200개

장점

  • 간단하고 계산이 쉬움
  • 주문과 재고 정책의 기준선 제시
  • 비용 절감에 직접적 기여

단점

  • 수요와 비용이 일정하지 않으면 부정확
  • 리드타임, 할인, 품절 등 현실 조건은 반영 어려움
  • 변동성이 큰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음

확장 모델

같이 보기

참고 문헌

  • Silver, Pyke, & Peterson. (1998). Inventory Management and Production Planning and Scheduling
  • Chopra & Meindl. (2019). Supply Chain Management
  • Nahmias, S. (2011). Production and Operations Analysis

  출처: IT위키(IT위키에서 최신 문서 보기)
  * 본 페이지는 공대위키에서 미러링된 페이지입니다. 일부 오류나 표현의 누락이 있을 수 있습니다. 원본 문서는 공대위키에서 확인하세요!